삼재는 미신이다 vs 중요하다, 삼재를 이해하기
'9년마다 3가지 재앙이 오는 운이 있다? 그런 단순한 운명학은 안 믿어'
삼재란 인간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세 가지 형태의 재앙을 의미한다. "모든 사람은 9년마다 운이 쇠락하는 시기 '삼재'에 들어간다." 이 주장은 받아들이기에 따라 단순, 무지, 터무니없이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 우리가 매일 드는 '잠'에 대해서도 큰 의미를 느낄 수 없듯이 말이다.
※원숭이띠, 쥐띠, 용띠가 작년인 2022년부터 삼재에 들어갔으며 올해 2023년은 눌러앉는 삼재, 눌삼재에 해당한다. 그 세 가지 띠는 2024년 날삼재로 삼재를 마치게 된다. 2025년부터는 돼지띠, 용띠, 토끼티가 삼재에 들어가는 순서다.
삼재의 작동 :
실제로 삼재는 그 악명이 대단하다. 삼재의 작용을 가리켜 들리던것이 들리지않고 보이던것이 보이지않으니 액운이 도처에 있다고 한다. 그래서 현대 사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것이 교통사고나 과격한 야외활동에서의 부상등이다. 실제로 삼재를 보내는 사람들은 크게 아프기도 하고 손실 좌절이나 실패담은 수도 없이 많다. 삼재란 인간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세 가지 형태의 재앙을 의미한다. 오만함과 낙관으로 달려오느라 지친 영혼은 이시기에 자주 잠에 빠진다. 평소 보이던것을 못보고 지나치고 들리던것도 못듣곤 하는것이다. 곳곳에 오류나 충돌이 일어난다.
삼재에 대처하는 법 :
예로부터 삼재를 대하는 방법은 부적과 기도였다. 죽음의 시기를 지나가는 영혼에 성성한 붉은색으로 부적을 썼다. 기도 역시 마음의 힘을 집중시켜 사람 팔자 열두 바퀴의 가장 춥고 거친 3년을 지켜내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삼재에 대처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 또한 이것과 결을 같이한다. 부적과 기도처럼 1. 삶에 대한 결연함을 유지하며 2. 자연과 시간에 겸손함을 갖고 3. 그동안의 나를 돌아보는 것이다.
삼재는 과학이다?
우리는 매일 작은 삼재에 들어간다. 밤 10시가 넘어가면 동네에 불이 꺼지기 시작해 활발하던 낮의 모습을 마무리하고 온 마을이 삼재에 들어가는 것이다. 소리도 들리지 않고 형체도 보이지가 않고 움직임도 없어지는 시간이다.
사람은 하루의 6시간 이상 잠을 잔다. 이것을 우주적 큰 순환에서 본다면? 삼재는 바로 이 수면시간에 해당된다. 어떤 활동도 없이 죽어있는 듯 하지만 어쩌면 몸체의 엔진과도 같은 '회복'이라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 새로운 하루를 준비하는 때라는 것이다. 잠을 잘 자려면 과학적인 침대라도 사야 하는 것 아닌가.
이제, 삼재를 이해하다 :
인간의 하루를 이해하면 삼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아침에 깨어나 낮을 계획 하며 활기차게 시작하고 계획한 낮을 바쁜 움직임으로 채운다. 그동안 몸은 피로가 누적되고 마음은 지치기도 한다. 모든 것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오만함의 낮을 지나 저녁이 오면 마음이 누그러지며 밤시간을 준비한다. 어둠이 오면 인간은 자연스레 아침과 낮을 겪는 동안 받은 압력과 정보들을 분류하고 버리는 시간을 갈구하게 된다. 느슨해진 판단력은 잠에 들고 에너지를 소비하기만 하면서 몸을 다시 준비시킨다. 이것이 삼재와 무엇이 다른가.
삼재는 우주 모든 물질의 사이클 12 운성의 중 겨울에 해당하는 '사묘절'이다. 12개의 별의 순환들 중에서 바쁘게 움직이던 '생지(시작하는지 점)' '왕지(왕성한 시기)'를 지나 '사(죽음) 묘(숨김) 절(끊김)'로 들어가는 시간인 것이다. 12 신살 사이클 중 '역마'를 기점으로 그동안 견지해 왔던 방향을 전환해 운동과 휴식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사람의 인생 또한 계절이 있고 그중 겨울이 있는 것이다.
옛날사람들이 '세 가지 재앙'이라 전하며 경고한 것은 이웃과 후대의 사람들을 돌보는 방법이 아니었을까? 삼재에 들어간 이웃들에게 회복과 발전의 축복을 빈다.
다음글 - 삼재, 발전과 팽창의 전초전. 치유의 시기에 지혜와 누적이 활성화된다. (운을알면 길이 보인다)
'STA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의 도화 지지, 유금 - 도화살 (0) | 2023.02.17 |
---|---|
식신과 관(정관 편관)의 동주 (0) | 2023.02.05 |
2023년의 절기 (0) | 2023.01.17 |
12운성 - 물질세상은 12개의 계절이 있다 (1) | 2023.01.06 |
홍염살 작용의 특징 - 도화 홍염의 차이 (0)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