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가 바뀌는 때는 음력1월1일이 아닌 24 절기 중 입춘을 기준으로 한다. 첫 번째 절기에 띠가 변경되는 기준점인 것이다
지금 한국의 1월은 지난해의 24절기중 마지막 두절기 '소한'과 '대한' 을 지나가는 중이다.
소한 : (계축월이 시작된다) 2023년 1월 6일 절입시간 오전 12시 5분. 혹한의 절기로 한국은 영하 10도를 오가는 온도를 보였다.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죽은 사람은 없다는 속담이 있다.
대한 : 1월 20일 금요일이며 절입시간은 오후 5시 30분이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는 속담이 있다.
첫 번째 절기 입춘, 계묘년이 시작되는 날짜는? 봄의 절기 6개
입춘 : (갑인월이 시작된다) 올해 입춘은 2023년 2월 4일 토요일 절입시간은 오전 11시 43분으로 이때 태어나는 신생아들부터 토끼띠인 것이다.
우수 : 2023년 2월 19일 일요일 오전 7시 34분이다. 우수 경칩이면 대동강이 풀린다는 속담처럼 이제 이 땅 위의 얼음은 힘을 잃게 된다.
경칩 : (을묘월이 시작된다) 3월 6일 월요일 오전 5시 36분으로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듯 삼라만물이 깨어나는 시기를 말한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가 되는 때다.
춘분 : 2023년 3월 21일 화요일로 절입시간은 오전 6시 24분이다.
청명 : (을묘월 윤달이 시작된다) 4월 5일 수요일 오전 10시 13분이다.
곡우 : 4월 20일 목요일로 절입시간은 오후 5시 14분이다. 모내기에 필요한 못자리를 하는 때. 곡우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라는 속담이 있다.
이후 여름 절기 6개
입하 : (병진월이 시작된다) 2023 5월 6일 토요일 절입시간은 오전3시 19분이다. 봄이 끝남을 알리는 절기로 산과 들에 초록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입하에 먹는 풍속음식으로 쑥 버무리가 있다.
소만 : 5월 21일 일요일 오후 4시 9분부터이다. 이 시기에 밭에 김을 맨다. 속담으로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는 속담이 있다. 장터에 냉이가 가득 담긴 소쿠리가 등장하는 때이다.
망종 : (정사월이 시작된다) 6월 6일 화요일 오전 7시 18분. 벼를 심기 위해 보리를 거둬야 하는 때다. 속담으로는 '망종 넘은 보리'
하지 : 2023년 6월 21일 수요일이며 절입시간은 11시 58분이다. 비가 내려야 하는 시기로 기우제 풍습이 있다.
소서 : (무오월이 시작된다) 2023년 7월 7일 금요일 5시 31분이다. 더운기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로 한국에는 소서 전후로 장마가 있다.
대서 : 2023년 7월 23일 일요일 오전 10시 50분이다. 24 절기 중 12번째 절기로 한국에서는 보통 이때가 중복으로 더위가 맹렬하다. 속담으로는 '대서 더위에 염소뿔도 녹는다'가 있다.
가을절기 6개
입추 : (기미월이 시작된다) 2023년 8월 8일 오전 3시 23분이다.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있을 때이다. 벼가 한창 자라는 시기
처서 : 2023년 8월 23일 수요일로 절입은 오후 6시 1분이다. 모기도 입이 삐뚤어진다는 속담이 바로 처서를 의미한다. 긴팔옷을 다시 꺼내는 때이다.
백로 : (경신월이 시작된다) 2023년 9월 8일 금요일 오전 6시 27분. 이때 조상묘에 한창 자란 풀을 베는 벌초 풍습이 있다
추분 : 2023년 9월 23일 토요일이다 절입시간은 오후 3시 50분이다. 추분점은 황도와 적도의 교차점 안에 태양이 적도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해 가로지르는 점을 말한다. 가을걷이에 나서는 때이다.
한로 : (신유월이 시작된다) 10월 8일 일요일 오후 10시 16분이다. 선선해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새벽 이슬이 찬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는 때다.
상강 : 2023년 10월 24일 화요일 오전 1시 21분이다. 입동 직전의 절기로 가을에 거둔 국화로 술을 담가먹는다.
겨울 절기
입동 : (임술월이 시작된다) 2023분 11월 8일 오전 1시 36분이다. 김장철이다.
소설 : 2023년 11월 22일 수요일 오후 11시 3분이다. 첫눈이 내리는 때이다.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는 속담이 있다
대설 : (계해월이 시작된다) 12월 7일 목요일 오후 6시 33분이다. 한해중 가장 많은 눈이 내리는 절기다. 대설에 눈이 많이 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다. '눈은 보리의 이불'이라는 속담으로 추운 날씨와 눈을 극복하는 격려의 말이다
동지 : 12월 22일 금요일 오후 12시 27분이다. 작은 설날로 불리는 동지는 팥죽을 먹고 시루떡을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을 의미한다.
2024년의 시작
소한 : 2024년 1월 6일 금요일 오전 12시 5분으로 2024년을 넘어간 1월에 해당된다 24 절기 중 23번째 절기이다. 입춘 전까지 혹한의 추위에 대비해야 하는 때이다.
'STA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과 관(정관 편관)의 동주 (0) | 2023.02.05 |
---|---|
삼재는 영혼의 겨울잠이다 (1) | 2023.01.26 |
12운성 - 물질세상은 12개의 계절이 있다 (1) | 2023.01.06 |
홍염살 작용의 특징 - 도화 홍염의 차이 (0) | 2022.12.26 |
십신이란? 사주는 맥락의 기록이다 (0) | 2022.12.26 |